프로젝트NX : N년 X제곱의 기회와 역량

person_add메뉴열기 close메뉴닫기

menu취업TIP   >   자기소개서 “입사 후 포부”, 쓰기 전에 기준부터 잡자

homeHOMEkeyboard_arrow_right취업TIP   >   자기소개서 “입사 후 포부”, 쓰기 전에 기준부터 잡자

자기소개서 “입사 후 포부”, 쓰기 전에 기준부터 잡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프로젝트NX 댓글 0건 조회 1,627회 작성일 21-05-24 17:21

본문


기고인 - 김용원 신안산대 산학취업처·취창업지원센터 상담사


성장배경, 성격의 장단점, 경력사항, 지원동기 등은 회사에 들어오기까지 어떻게 준비했느냐에 초점을 맞춘 과거 이야기가 서술되는 항목이고, 입사 후 포부는 미래에 대한 계획이나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입사 후 포부는 자기소개서에서도 나오는 질문이지만, 면접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질문이다. 또한 독자적으로 묻기도 하고, 지원동기와 연계하여 묻기도 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


자기소개서 “입사 후 포부‘ 항목에 “○○회사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신입사원으로서 배우는 자세로 열심히 일하겠습니다”라는 표현을 썼다면 고쳐라. 이런 표현은 막연하고 모호해 성의 없어 보일 뿐만 아니라, 입사하고자 하는 회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당수의 지원자가 입사 후 포부 항목에 먼 미래에는 직무와 관련 있는 ‘자기 사업’을 해보고 싶다는 원대한 꿈을 드러내는데, 이는 입사 후 포부 항목이 해당 회사에서의 근속 의지를 묻는 질문임을 알아차리지 못한 실수를 범한 것이다.


입사 후 포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업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정보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지원하려는 기업이 어떤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업무를 하는지, 실제 기업 분위기와 사업 비전 등 지원하려는 분야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입사 후 포부 작성법은 ‘시간 계획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과 ‘기업과 함께 성장하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시간 계획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은 입사 후 3년, 5년, 10년까지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작성해 보는 것이다. 한 회사에서 10년이면 직장인으로서 승부가 나는 시간이다. 10년 안에 그 회사에서 인정받지 못하면 구조조정에 시달리다가 직장생활을 불명예스럽게 마감해야 한다.


그래서 입사 후 10년은 직장에서 핵심으로 살아남기 위해 전문가가 돼야 하는 시간이다. 입사 후 포부는 향후 자신의 인생 설계 부분으로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자신이 장차 추구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자기 연구가 우선돼야 한다. 가능하면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와 관련 있는 장래 희망과 포부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회사의 발전 방향을 염두에 두고 쓰지 않으면 지원하는 분야에서 어떻게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은지가 개인적인 계획을 작성한 것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자신의 포부에 대해 단순히 황금빛 미래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자기가 선택한 회사나 업종에 대한 목표 성취 및 개발을 위해 어떠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가 언급된 입사 후 포부를 써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 앞으로 하고 싶은 것, 왜 그것이 하고 싶은지를 깊이 고민해 보고, 그것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계획’이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될 모습이 ‘목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컴퓨터활용 능력 자격증처럼 기본적인 능력 부족을 드러내는 사항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 좋다. 회사는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존재하는 단체이지 학교가 아니다. 따라서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학위를 취득하겠다는 내용은 개인의 목표이므로 채용담당자가 관심 있게 관찰하는 내용이 아니다.


둘째 기업과 함께 성장하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에 집중해야 하는 시간 계획 작성 방식과 다르게 지원하려는 기업이 추구하는 단 한 가지 프로젝트에만 주목하는 방식이다.


현재 해당 기업이 어떤 분야 사업에 강점을 보이고 있는지 우선 설명하고, 그다음에는 해당 분야 업무를 위한 핵심 역량을 언급하면 된다. 그 핵심 역량을 본인이 지녔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예시와 함께 제시하시면 된다.


마지막으로 해당 역량을 활용에서 기업 핵심 산업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 설명한다면 ‘준비된 인재’라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90346cde440fbca4b898dd676ac21ea3_1621844469_0048.png
 

원문 출처 <한국대학신문> [기고] 자기소개서 “입사 후 포부”, 쓰기 전에 기준부터 잡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